본문 바로가기
응용근신경학

9. 근육 고유수용체 /근 신경 방추세포 의 검사와 치료

by 월천부인1000 2023. 9. 1.
반응형

근육 고유수용체

 근육 고유수용체는 골기 건기관과 근 신경 방추세포로 구성된다. 이 두 기관은 그들이 속한 근육과 관련 근육들을 조절하는 것을 도우며 그 외에 관절 감각수용체가 신체의 위치 감각 신호를 보내는 작용을 보조한다. 고유감각에서 근육의 역할은 손가락의 피부,관절 혹은 손 전체를 국소 마취한 실험을 통해 입증된 바 있다. 손가락을 움직이는 근육은 마취 부위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마취되지 않으며 따라서 이 근육에서의 구심성 신호는 그대로 유지된다. 

 

근 신경 방추세포

 근 신경 방추세포는 근육 전체에 분포하고 있으며, 근육 중앙부에 집중되어 있다. 근 신경 방추세포의 밀집 정도는 어떤 정류의 근육에 분포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자세 근육(긴장성 근육)에서는 밀도가 떨어지지만 반면 보다 정교하게 통제되어야 하는 근육(위상성 근육)에는 높은 밀도로 분포한다.

 근 방추의 길이는 2~20mm로 다양하며 외피가 싸고 있고 액체로 채워진 강의 형태를 띠고 있다. 강 내부에는 3~10개의 근 섬유가 있는데 이들을 크기가 더 큰 골격근 섬유 즉 방추외 근섬유와 구분하기 위해 방추내 근섬유라고 지칭한다. 방추내 근섬유는 크기가 작고 골격근이 힘을 내는  데에는 기여하지 않는다. 방추내 근섬유는 방추외 근육초에 부착되어 있어서 방추외 근섬유를 따라 방추내 근섬유도 신장되거나 수축된다. 근신경 방추세포의 역할은 방추내 근섬유와 방추외 근섬유를 서로 비교 측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은 방추내 근섬유에 이어져 있는 구심성,원심성 신경을 통해 이루어진다. 방추내 근섬유의 길이는 감마 운동신경원에 의해 정해진다. 방추내 근섬유의 긴장도는 Ia, II 구심성 신경 섬유에 의해 감지된다. 일반적으로 근방추에서 들어온 구심성 신호는 그 근방추가 속해 있는 근육을 흥분시키고, 협력근에 촉진 효과를 유발하며, 길항근에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

 

 근신경 방추세포가 근육의 힘에 미치는 영향은 검사자가 정상적인 기능을 가진 피검사자의 근신경 방추세포를 자극할 때 관찰할 수 있다. 근신경 방추세포가 외관상 있을 법한 부분과 근복 부위에 두 엄지를 서로 5cm 정도 떨어져서 올려놓는다. 두 엄지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근섬유의 방향과 평행하게 비교적 세게 힘을 주어서 손가락으로 압박을 가한다. 그 후에 근육이 약한 지 검사를 하게 된다. 이러한 수지 압박은 방추내 근섬유의 압력을 제거하여 구심성 신경의 신호를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외측 근섬유가 일시적으로 억제되는 것으로 보인다. 정상적인 근신경 방추세포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실험을 몇 번 반복하게 될 수도 있다. 근육의 걱제는 검사를 2~3회 하기에 충분할 시간동안은 지속될 것이다.


근신경 방추세포의  근신경 검사와 치료

 근신경 방추세포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근육의 과긴장이나 위약이 발생했는지 확인해 보기 위해 치료적 접촉검사와 촉진을 활용한다. 근육이 위약한 경우가 검진하기 용이하다. 환자가 근신경 방추세포 부위에 치료적 접촉을 하면 근육은 검사상 강해질 것이다. 기능 이상을 일으키고 있는 근신경 방추세포는 대개 촉진으로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근육조직 중 섬유질처럼 느껴지는 그 위치를 찾으면 되며, 대개 수지 압박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치료적 접촉 검사로 해당 근육을 찾는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대개 먼저 촉진으로 섬유질처럼 느껴지는 부위를 찾고 다음에 치료적 접촉검사를 실시한다.

 

 근육을 약화시킨 원인이 되는 근신경 방추세포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촉진과 치료적 접촉 검사를 통해 확인한 문제의 부위에 양 엄지를 올려놓고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1~7kg의 압력으로 당기며, 가끔은 이보다 강한 압력이 필요할 수도 있다. 

환자는 문제가 있는 부위에서 압통을 느낄 것이다. 이렇게 방추세포를 당기는 시술을 전체 영역에 걸쳐 수차례 반복한다. 치료 후 근육은 강하게 검사될 것이며, 이 경우 치료를 반복할 필요가 없다. 

 

 근신경 방추세포의 기능이상으로 인해 과긴장된 근육을 치료할 때에는 압박을 가하는 방향을 반대로 하면 된다. 촉진과 치료적 접촉검사를 통해 확인한 부위의 양 끝에 손가락을 대고, 방추세포의 양 끝에서 중앙 방향으로 비슷한 정도의 압력으로 민다. 과긴장되었던 근육이 정상 상태를 회복했다면 그 근육은 도수 근육검사상 정상적인 근력을 나타낼 것이기 때문에 과긴장된 근육이 적절히 치료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은 더욱 어렵다. 근신경 방추세포가 적절히 치료되었는지를 판명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치료적 접촉검사의 양성 반응이 제거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과긴장근육으로 인해 관절운동범위가 제한되었던 경우라면 치료 후에는 관절운동범위가 증가할 것이다. 

 

 근신경 방추세포의 기능 이상을 치료하는 최적의 방법은 방추세포 부위에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혹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수지 압박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때는 최대한 비슷한 방향으로 손가락 한 개로 자극을 준다. 손가락을 대기 곤란할 정도로 작은 근육이라 할지라도 말이다. 이렇듯 근신경 방추세포를 치료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쉽다. 

 

골기 건기관 검사와 치료

 근신경 방추세포와 마찬가지로 골기 건기관은 외상에 의해 기능이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 골기 건기관에 기능이상이 있으면 근육이 약해지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다. 때때로 골기 건기관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근육이 과긴장된 것으로 보이는 경우도 있으나. 이에 대한 신경학적 기전은 아직 불확실하다. 어떤 근육이 약할 때에는 치료적 접촉검사로 골기 건기관을 진찰해 불 수 있으며 치료적 접촉 검사가 양성이면 근육은 강하게 변할 것이다.

 

 골기 건기관에 대한 치료적 접촉 검사가 양성이면 지표 근육은 위약해질 것이다. 그러나 가장 정확한 진찰 방법은 상동 근육을 검사하는 것이다. 먼저 촉진으로 기능 이상이 있는 골기 건기관의 위치를 파악한다. 대개 촉진상 근건 접합부에 띄엄띄엄 있는 소결절이 만져지며 손가락으로 누르면 압통이 매우 심할 것이다. 근육의 기시부나 종지부 혹은 두 부위 모두의 골기 건기관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근육이 기시하고 종지하는 해부학적 위치를 관찰할 수 있는 상황이라면 두 부위 모두를 검진해 보아야 한다.

 

 골기 건기관을 치료할 때에는 치료적 접촉 검사상 양성 소견을 보이는 촉진할 수 있는 소결절 부위에 비교적 강하게 손가락으로 수기 치료를 한다. 수기 치료는 근육을 강화시킬 때에는 근섬유의 배열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근복을 향해 실시하고 근육을 약화시킬 때에는 근복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실시한다. 수용체에 수기 치료를 실시하고 나면 그 근육을 즉시 강해지며, 추가적인 치료를 하지 않아도 효과가 지속된다. 

 

 근육을 약화시키기 위해서는 근복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골기 건기관 부위를 눌러준다. 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근복 쪽으로 골기 건기관 부위를 눌러준다.

반응형